회원가입 로그인
About Caras 후원사 광고탑 Sitemap
품질정책 가격정책 A/S정책 OPTION 허위광고 RECALL LINK
게시판 언론보도 NEWS
   
   
   
   
   
   
 
  현재위치 : HOME > OPTION

OPTION      

 
 
옵션에 관하여
옵션의 불합리한 조건
터무니없이 비싼 옵션 가격
옵션의 끼워 팔기는 불법

 

미국 크라이슬러의 리 아이아코카 회장은 그의 자서전에서
"Option이라는 것을 만들어 시행하니 자동차를 판매하는 이익보다 훨씬 큰 이익이 났다"고 했습니다.

이제 자동차를 구입하는 많은 소비자들이 다양한 옵션(선택 사양)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운전자들의 안전의식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자동차 옵션의 가격이 지나치게 높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차를 구입할 때 옵션 선택 때문에 고민하는 소비자들이 많습니다.
자동변속기나 에어컨과 같은 편의 사양은 손쉽게 선택할 수 있지만 에어백(Air Bag)이나 브레이크잠김방지장치(ABS), 알루미늄 휠, 가죽시트, CD체인저, 네비게이션(Navigation) 같은 고급 사양들은 어디까지 구매할 것인가를 놓고 고민하게 됩니다.
그러나 새 차를 구입할 때 무조건 옵션을 선택하면 차 값은 물론이고 등록비와 보험료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옵션 선택은 지혜롭게 해야 합니다.
따라서 옵션을 선택할 때는 먼저 안전을 중시할지 아니면 편의 장비를 중시할지를 결정해야 하며 고급 오디오나 가죽시트 등은 차를 출고 후 카센터나 전문 대리점에서 장착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2002. 05. 29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가 옵션에 관하여 분석 발표한 자료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승용차에서 가장 높은 장착률을 보이고 있는 편의 장치 옵션인 자동변속기 장착률은 97년 62.5%에서 98년 소득감소와 연료소비가 많다는 단점때문에 유지비 부담으로 수동변속기에 대한 선호도가 일시적으로 높아져 57.8%로 줄었으나 99년 64.4%, 2000년 70.7%, 2001년 74%로 증가세로 돌아서 스틱보다 역시 오토가 대세임을 뒷받침했습니다.
첨단 제동장치인 ABS의 장착률도 97년 16.6%에서 98년 13.7%로 떨어졌으나 99년 24.2%, 2000년 26%로 늘어난데 이어 2001년 42%로 최대 신장폭을 보였습니다.
자동차 업체들이 대형 승용차에 이어 일부 중형 승용차에도 ABS를 기본 사양으로 붙이기 시작했고 운전자들 사이에서도 ABS의 효용가치가 높게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장착률이 급증했습니다.
에어백 장착률은 97년 19.8%, 98년 19.0%로 20%선을 밑돌았으나 99년 48.3%, 2000년 52.4%, 2001년 57%를 넘어서 판매된 새 차 2대 가운데 1대 이상이 에어백을 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알루미늄 휠도 2000년까지 장착률이 60% 안팎에 머물렀으나 2001년 72%로 10%포인트 이상 높아져 자동차에도 ‘패션 바람’ 이 강하게 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관련 글 보기
네이버 뉴스 보기
캡쳐화면 보기



1) 어떤 Option을 선택하려면 불필요한 Option까지도 억지로 구매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러 가지 경우가 많지만 에쿠스의 경우 수퍼비젼 클러스터를 선택하고 싶으면 50만 원짜리 CD Changer나 AV System, 또는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IMS III 등을 함께 구입해야 합니다.



2) 어떤 Option을 선택하면 다른 Option은 선택할 수가 없도록 만들었습니다.

Maker가 임의로 Option의 종류를 축소하여 어떤 Option을 선택하면 다른 Option은 선택할 수가 없도록 만들었습니다.
원래 네비게이션과 조수석 릴랙스 시트(조수석을 뒤로 제껴서 후석에서 발을 뻗을 수 있는 장치)는 각각 별개의 Option 이었습니다.
제가 구입하기 얼마 전까지는 동시 적용(구입)이 가능했던 품목들이었던 것입니다.
당시 저로서는 비싼 차를 사면서 금액이 얼마가 되든 간에 Relax Seat와 Navigation 중 어느 한 쪽도 포기할 수 없는 입장이었습니다.
그러나 제가 구입 당시 Navigation과 Relax Seat는 동시 적용이 불가능하도록 만들어 놓았습니다.
기사들이 차를 운전하는 경우라면 조수석 Relax Seat는 꼭 필요한 옵션입니다.
또한 요즘은 저가 차량에도 네비게이션을 장착할 수 있는 추세인 데 에쿠스를 구입하면서 네비게이션을 장착할 수 없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입니다.
물론, 그 오동작만 일삼는 결함투성이 네비게이션을 장착하지 않았다면 좋았을 뻔 했습니다만...

이 것은 자재관리, 생산관리, 주문관리를 간편하게 하려는 자동차 회사의 펀의만을 고려하여 Option의 종류를 줄여 버린 것으로 밖에 생각할 수가 없습니다.
옵션이 4가지인 경우 15종류의 차를 준비해야 하지만 3가지인 경우 8종류의 차만 준비하면 됩니다.
그러나 당시 현대자동차에서는 Navigation과 Relax Seat의 동시적용은 기술적인 문제로 블가능하다고 이해할 수 없는 말을 하였습니다.
결국 지나 가다 에쿠스가 세워져 있는 그린서비스에 들러 구경을 하던 중 현대자동차 주재원이 자기에게 차를 구입하면 출고 후 Relax Seat로 개조해 주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따라서 60만원이나 더 주고 Full Option으로 출고하였고 Relax Seat로 개조를 해 받는 대신 현찰 구입시의 60만원의 할인을 포기하였습니다.
에쿠스의 Option 종류를 1가지 줄이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고객은 120만원의 추가비용을 지불한 셈입니다.
차를 파는 사람(대리점)은 어차피 60만 원을 할인해 주는 대신 Relax Seat를 장착해 주었으니 손해도 이익도 없었다 할 것입니다.
현대자동차는 60만원 비싸게 받고 Full Option으로 팔고 후에 Relax Seat 개조비용으로 60만원을 더 받은 셈입니다.



3) 어떤 Option이 동시에 적용 가능한 지 제대로 알고 있는 대리점도 없었습니다.

어느 대리점은 주문을받아서 컴퓨터에 입력하다가 입력이 안 된다고 했습니다.
또 다른 어느 대리점은 울산까지 전화를 해 보고서야 Option의 동시 적용이 안 된다고 했습니다.


4) Full Option을 구입하지 않으면 한단계 아래등급의 차를 Full Option으로 산것보다도 불편하게 만들어 놓았습니다.

차는 Full Option을 구입하지 않으면 한단계 아래등급의 차를 Full Option으로 산것보다도 불편하게 만들어 놓았습니다.
따라서 저는 이 날까지 차를 살 때는 동일 차종에서는 최고의 모델을 선택하여 Full Option으로만 구매했습니다.
그러나 값 비싼 차가 한 단계 아래 급의 싼 차보다도 편의장치가 부족하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차량 가격에 비교할 때 별로 비싸지도 않은 편의장치들을 모델별로 차등을 두어 배기량이 크고 비싼 모델의 차를 사도록 만들어 놓았습니다.
물론 그 것도 상술이라고 하겠지만 차를 구입할 때마다 괘씸한 생각이 듭니다.




 폭리를 취하는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가 자동차 운전의 안전과 직결되는 에어백과 ABS장치에서 납품가의 2~3배에 달하는 폭리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관련 글 보기
네이버 뉴스 보기
캡쳐화면 보기



1) 패키지로만 판매하는 것은 위법

자동차의 선택사양품목을 개별적으로 팔지 않고 패키지로만 판매하는 것이 위법이라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심사결과가 나왔습니다.
현대자동차는 트라제XG를 판매하면서 소비자가 31만원짜리 조수석 에어백을 사려면 전동식썬루프 등 4가지 사양을 추가로 선택할 수밖에 없도록 패키지를 구성, 3백66만원의 추가부담을 줬다가 공정위에 적발됐습니다.

◆ 관련 글 보기
네이버 뉴스 보기
캡쳐화면 보기


2) 업체의 첫번째 대책은 옵션을 대폭 필수사양으로 전환... 이렇게 되면 소비자가격 인상은 불가피함.

자동차업계 반응은 공정위의 명령을 받아들여야 하지만 옵션 전체를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할 경우 주문생산 체제로 갈수 밖에 없다며 곤혹스러워 하고 있습니다.
업체의 첫 번째 대책은 현재 옵션으로 들어가 있는 것을 대폭 필수사양으로 전환시키겠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소비자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습니다.
두 번째 대책은 현재 차종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나눠져 있는 트림레벨 (예:트라제XG GL GLS 골드)을 다양화해 옵션해제의 충격을 흡수하는 방안입니다.
즉, 트림레벨을 다양화하는 것을 통해 옵션선택의 폭을 넓혀 줄 수 있다는 것이며 에쿠스의 경우라면 배기량이 같아도 GS, JS value, JS value최고급, JS 등으로 다양화 시켜 놓았습니다.

◆ 관련 글 보기
네이버 뉴스 보기
캡쳐화면 보기



 
 
About Caras 후원사 광고탑 오류지적게시판 경품응모게시판

TEL : 031-458-7788, 010-5258-9559
E-Mail : caras@caras.or.kr

Copyright ⓒ 2002 CarAS. All rights reserved